티스토리 뷰

잠비아 (Zambia)는 아프리카 대륙 남쪽에 위치한 내륙국가로, 수도는 루사카(Lusaka)입니다. 1964년에 영국으로로부터 독립하여 현재는 공화국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는 구리 등 광물자원이 풍부하여 산업 발전에 기여하지만, 빈곤과 식량난 등 여러 어려움이 있는 나라입니다. 또한 자연경치도 아름다운 아프리카의 대표적인 관광지 중 하나입니다.
잠비아는 주변 8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습니다: 북동쪽으로는 탄자니아, 동쪽으로는 말라위, 남동쪽으로는 모잠비크, 남쪽으로는 짐바브웨, 남서쪽으로는 보츠와나와 나미비아, 서쪽으로는 앙골라, 북쪽으로는 콩고민주공화국에 접해 있습니다. 이 나라는 남쪽 국경을 이루는 거대한 잠베지 강과 세계에서 가장 큰 폭포 중 하나인 빅토리아 폭포 등 다양한 풍경으로 유명합니다.
잠비아는 다양한 인종이 거주하고 있으며,, 전체인구의 70% 이상이 반투계 민족인 ‘아프리카너’(Afrikaner)이며, 나머지 30%는 유럽인과 아랍인도 있으며 소수의 인도인과 중국인 등 아시아인들도 거주하고 있습니다. 잠비아의 국토 면적은 약 752,610 km²이며, 인구는 22년 기준 2,056만 9,737명으로 추산됩니다.

자연환경과 천연자원
잠비아는 아프리카 대륙의 중앙부에 위치한 내륙국가로 사바나(얼룩말), 열대우림 숲, 강과 폭포 등 다양한 자연경관을 갖춘 나라입니다. 대표적으로 빅토리아 폭포가 있으며, 잠비아 북부 지역에서는 세계 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은 로워잠베지 국립공원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카프 차나 지방에는 광맥지대가 있어 자외선 카메라로도 볼 수 있는 경관이 있습니다. 하지만 밀림 파괴, 토지침식, 교통여건 등 환경문제도 심각합니다.
잠비아에는 다양한 자원이 존재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구리로, 구리 금속의 생산량을 보면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적자권인 잠비아가 6위를 차지할 정도로 구리 채굴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겨왔습니다. 또한, 주요 광물 자원으로는 쇠, 주석, 마그네슘, 석석, 코발트광석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농업 분야와 원유 재화 생산 등 산업 분에서도 발전 가능한 국가입니다.

날씨와 기후는?
잠비아는 열대성 기후 지방에 속해있으며, 대체로 더운 날씨가 지속됩니다. 잠비아의 11월부터 4월까지 기간 동안은 비가 내리며, 생육 계절에 적절한 기후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미 기후변화가 지속되고 있어서 최근에는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과 홍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최근 날씨의 불규칙적인 패턴으로 인해 농작물 수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잠비아에서는 기후 변화로 인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중 가장 큰 문제는 가뭄으로 인한 수혈 부족입니다. 가뭄으로 인해 작물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많은이들을 하여금 식량 부족 상황을 만들기도 합니다. 또한, 가뭄으로 인한 농지의 토양 침식이 발생하며, 이는 생태계 파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잠비아 축구 수준
치폴로폴로로 알려진 잠비아 축구 국가 대표팀은 성공과 도전을 모두 경험했습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 중 하나는 2012년에 잠비아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AFCON)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코트디부아르를 꺾고 우승한 것입니다. 이 우승은 가봉 해안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비극적으로 사망한 1993년 대표팀의 기억을 기린다는 점에서 특히 의미가 있었습니다. 잠비아는 또한 여러 AFCON 토너먼트에 참가했으며 다른 국제 대회에 참가할 자격을 얻기도 했습니다.
잠비아의 국내 리그는 스폰서십으로 인해 MTN/FAZ 슈퍼 리그라고도 알려진 잠비아 슈퍼 리그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제스코 유나이티드, 자나코, 그린 버팔로스, 은카나 FC와 같은 팀들이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유명한 잠비아 축구 선수로는 칼루샤 브왈랴, 크리스토퍼 카톤고, 레인포드 칼라바, 스토피라 순주, 팻슨 다카 등이 있습니다.
'나만의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제리 경제 상황과 대표음식 (0) | 2023.06.07 |
---|---|
케냐 국립공원과 aa커피란? (0) | 2023.06.06 |
에리트레아 경제 상황과 날씨정보 (0) | 2023.06.04 |
앙골라 수도와 날씨정보 (0) | 2023.06.04 |
콩고민주공화국 역사, 아직까지 내전중 (0) | 2023.06.02 |